본문 바로가기

■ 회계, 세무/회계 & 세무

사업자 과세 유형의 구분은?

◆ 사업자 과세 유형 구분과 차이 ◆

 

 

© nypl, 출처 Unsplash

 

 

늘은 사업자 유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

사업자 유형의 구분, 유형에 따른 세제상 차이, 그리고 부가세 계산식 요약내용을 적었으니 참고들 하세요.

 

 


 


◆ 사업자 과세 유형 구분 ◆


 

업자의 유형은 /1. 개인 or 법인 / 2. 과세 or 면세 / 3. 일반 or 간이 / 로 구분합니다.

 

[ 사업자 유형 구분 ]

 

 

1. 먼저 "사업 형태"에 따라 "개인사업자"와 "법인사업자"로 구분합니다.

 

[ 사업형태에 따른 구분 - 국세청 ]

 

2. 다음으로는 "부가세 과세 여부"에 따라 "과세사업자"와 "면세사업자"로 구분합니다.

 

[ 과세 형태에 따른 구분 - 국세청 ]

 

3. 마지막으로 개인 과세사업자 중 "매출규모, 업종, 지역"에 따라 "일반과세자"와 "간이과세자"로 구분합니다.

 

이과세자는 매출액 외에 업종과 지역에 따라 배제기준이 있어서, 배제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.

세한 배제 기준은 국세청 홈페이지를 참고 바랍니다.

(차후에 혹시나 올릴 기회가 있다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.^^;;)

 

[ 사업 규모에 따른 구분 - 국세청 ]

 

 


◆ 개인과 법인의 세제상 차이 요약 ◆


 

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세제상 주요 차이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. 참고하세요.

 

부감사 제도는 주권 상장 여부, 자산, 부채, 종업원 수, 매출액 등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외부감사 의무가 있습니다.

아래 그림에서는 간략히 나온 점 참고하세요.

 

[ 개인과 법인의 세제상 주요차이 - 국세청 ]

 

 


◆ 사업자 구분에 따른 부가세 계산식 요약 ◆


업자 구분에 따른 부가세 세액계산 방법 및 간이과세자 업종별 부가율(2020년 현재 기준)은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[ 사업자 구분에 따른 부가세액 계산 및 간이과세자 부가율 - 국세청 ]

 

 


 

 

다음 편에서는 「 부가가치세의 과세기간과 신고납부 기한 」 에 대해 올리겠습니다.

그럼~~